-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제도는 정세금 반환을 걱정하는 임차인들에게 큰 도움을 주는 정책입니다. 특히 청년과 신혼부부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안정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의 지원대상, 혜택, 신청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지원
지원대상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은 전세보증금이 3억원 이하인 임차인(집을 빌리는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또한, 신청일 기준 효력이 유효한 전세보증금반환보증(HUG, HF, SGI)에 가입한 자여야 하며,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가입한 자
- 전세보증금 3억원 이하
소득기준은 청년, 신혼부부, 일반 임차인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 청년: 18~39세(1985.3.5.~2006.3.4. 출생), 연소득 5천만원 이하
- 신혼부부: 혼인신고일이 7년 이내인 부부(연령 무관), 연소득 7.5천만원 이하
- 일반 임차인: 청년과 신혼부부를 제외한 일반 임차인, 연소득 6천만원 이하
단, 주택소유자(분양권 및 입주권 포함), 외국인, 국내에 거주하지 않는 재외국민, 법인 임차인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원내용
지원 금액은 최대 30만원이며, 청년과 신혼부부는 기 납부한 보증료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신혼부부 외에는 기 납부한 보증료의 90%까지 지원됩니다.
- 청년 및 신혼부부: 보증료 전액(최대 30만원)
- 일반 임차인: 보증료의 90%(최대 30만원)
지원금은 신청인 계좌로 직접 입금되며, 심사 후 30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지원 신청방법
신청기간
2005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지원은 연중 신청이 가능하지만, 지자체별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산이 소진되기 전에 빠르게 신청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신청방법
신청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은 정부24에서 신청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제출서류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소득이 없는 경우 '사실증명(신고사실 없음)'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신청서 및 서약서
- 통장사본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서
- 보증료 납부 증빙서류(HF 가입자만 해당)
- 임대차계약서
- 부동산 등기사항 전부증명서
- 주민등록등본(전체공개)
- 혼인관계증명서(신혼부부만 해당)
- 소득금액증빙자료
주의사항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은 동일 지자체에서는 2년간 신청 제한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지자체로 이전하는 경우에는 제한 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한 번에 지원받을 수 있는 한도는 최대 30만원이고,
본인이 신청할 수 없는 경우 대리인이 신청할 수 있지만 위임장과 신분증 등 추가 서류가 필요합니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제도는 임차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제도를 통해 많은 임차인들이 전세금반환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보다 안정된 주거 환경을 유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자세한 정보는 정부24 홈페이지나 국토교통부 전담 콜센터(1599-0001)에 문의할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에 해당하는 분들은 예산이 소진되기 전에 빠르게 신청하여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2025.03.04 - [생활팁] - 이사 가스비 정산 : 이사할 때 가스비, 전기세, 수도세 정산방법 총정리
이사 가스비 정산 : 이사할 때 가스비, 전기세, 수도세 정산방법 총정리
이번 글에서는 이사 가스비 정산을 중심으로, 이사할 때 가스비, 전기세, 수도세 등 공과금 정산방법을 소개합니다. 이사 가스비 정산 및 공과금 처리 방법이사를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일 중
kimmi-day.com
2025.02.10 - [생활팁/금융팁] - 등기부등본 열람 모바일 방법 +수수료 정보
등기부등본 열람 모바일 방법 +수수료 정보
부동산 거래하기 전에는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열람해서 해당 부동산에 문제가 없는지 꼼꼼히 살펴보아야 합니다.등기부등본은 소유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열람할 수 있고, 모바일로 간편하게
kimmi-day.com
2025.03.02 - [생활팁] - 완벽한 이사를 위한 이사준비 체크리스트 총정리
완벽한 이사를 위한 이사준비 체크리스트 총정리
이사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많은 준비와 스트레스를 동반하는 큰 변화입니다. 그래서 체계적인 준비로 이사 과정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불필요한 혼란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kimmi-day.com
'지원금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서울엄마아빠택시 : 영아 동반 가정을 위한 맞춤형 교통 지원 (0) 2025.03.07 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100만원 신청 방법! (0) 2025.03.06 2025년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하기 : 청년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 (2) 2025.03.05 2025년 안성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 부동산 중개수수료 및 이사비 실비 지원 (0) 2025.03.02 2006년생을 위한 '청년 문화예술패스': 문화생활의 새로운 기회 (0)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