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글에서는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에 대해서 안내드리겠습니다.
경기복지재단에서는 경기도에 거주 중인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의 청년을 대상으로 총 340만 원 상당을 지원하는 정책형 저축통장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이란?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은 경기복지재단에서 경기도 청년 노동자들의 근로의지 고취 및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19세~39세 청년 근로자 중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에게 총 340만 원 상당의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지원방식은 청년이 매달 10만 원씩 2년간 저축하면 저축한 금액과 동일한240만 원을 추가 납입해 주고, 만기 시 100만 원의 지역화폐도 지급합니다.
신청자격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사업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격은 공고일(2024. 5. 24.)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인 청년
- 19세~39세 청년
- 근로하는 청년(소상공인, 아르바이트 등 포함)
-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
아래 배너를 클릭하여 본인이 지원자격에 해당하는지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단, 희망키움통장,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등 기존의 비슷한 자산형성지원사업에 참여 중이면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사업은 신청할 수 없습니다.신청방법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사업은 해당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합니다. 방문 및 우편 접수는 불가합니다.
아래 배너로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회원가입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신청기간은 2024년 5월 31일 금요일부터 6월 17일 월요일까지입니다.
- 신청기간 : 2024. 5. 31.(금) 9:00 ~ 6. 17.(월) 18:00
제출서류
신청할 때 아래의 서류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자동 연계되어 제출할 수 없고 서류를 일일이 첨부하여 제출해야 하니 미리 준비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서류는 가구원 모두 각 1부씩 제출해야 해서 다소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기한에 여유를 두고 미리 신청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은 선착순 접수가 아니니까 6월 17일 전까지 여유를 두고 신청하시면 됩니다. 미리 제출서류를 확인하셔서 가구원의 서류까지 준비해 두시기 바랍니다.
2024.05.24 - [생활팁] - 2024년 기준 중위소득 100%, 120%, 150%, 160%, 180%, 200% 표
2024년 기준 중위소득 100%, 120%, 150%, 160%, 180%, 200% 표
이 글에서는 정부 복지제도 지원의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2024년 기준 중위소득 100%를 척도로 하여 120%, 150%, 160%, 180%, 200% 등의 값과 각 구간의 정책을 확인해
kimmi-day.com
2024.02.18 - [생활팁] - 삼성페이 전자증명서(등본, 초본,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등)발급받는 방법
삼성페이 전자증명서(등본, 초본,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등)발급받는 방법
등본, 초본,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등의 증명서를 발급받으려면 정부24 사이트를 이용해야 했는데요. 삼성페이가 이번 업데이트에서 전자증명서 발급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kimmi-day.com
2024.05.31 - [지원금 혜택] - 2024년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 자격요건 및 신청방법, 사용처 총정리
2024년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 자격요건 및 신청방법, 사용처 총정리
오늘은 경기도 청년에게 120만 원의 혜택을 지원하는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작년에 이어서 2024년에도 진행하는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는, 전용 온라인몰에서 생
kimmi-day.com
'지원금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24세 청년 100만원 지원 신청방법 (0) 2024.06.03 2024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자격 및 신청방법 (0) 2024.06.02 2024년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 자격요건 및 신청방법, 사용처 총정리 (0) 2024.05.31 송장 지우개, 창문 잠금장치 등 여성안심 패키지 신청방법 (0) 2024.05.27 2024 레이 전기차 보조금 얼마일까? (0) 2024.05.26